[Spring] 프로젝트를 위한 요구사항
업데이트:
프로젝트를 위한 요구사항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고객의 요구사항을 인식하고, 이를 설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요구사항 분석 설계라고 하는데, 고객이 원하는 내용이 무엇이고, 어느 정도까지 구현할 것인가에 대한 프로젝트의 범위를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구사항은 실제로 상당히 방대해 질 수 있어서, 프로젝트에서는 단계를 정확히 구분해주는 것이 좋다.
만약 팀원들이 경험이 풍부하다면 초기 버전을 상당히 많은 기능을 포함시켜 개발을 진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최대한 단순하고 눈에 보이는 결과를 만들어 내는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요구사항은 온전한 문장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다.
주어는 ‘고객’이고 목적어는 ‘대상’이 된다.
대상(다른 용어로 도메인)은 결국 데이터의 베이스 설계와 시스템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용어가 된다.
EX) 게시판의 요구사항 정리
- 고객은 새로운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어야 한다.
- 고객은 특정한 게시물을 조회할 수 있어야 한다.
- 고객은 작성한 게시물을 삭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대상’은 ‘게시물’이 되며 게시물이라는 용어가 필요하게 되고, 게시물의 구조를 판단해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설계하게 된다.
요구사항에 따른 화면 설계
요구사항에서 나오는 용어를 기준으로 테이블이나 클래스의 이름들이 정해지듯이, 요구사항은 화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고객이 새로운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어야 한다’면 당연히 그에 해당하는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 구성은 ‘어떤 내용들을 입력하게 될 것인가’에 세부적인 설계가 되고, 이를 기준으로 테이블이나 클래스의 멤버 변수(인스턴스 변수)들을 설계하게 된다.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결과로 ‘스토리보드’를 만들며, 주로 Mock-up 툴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 화면을 설계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값과 함께 전체 페이지의 흐름이 설계된다.
화면의 흐름을 URL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GET/POST 방식에 대해서 같이 언급해두는 것이 좋다.
관련 서적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공유하기
Twitter Google+ LinkedIn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