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 정리(1)
업데이트: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을 준비하며 정리한 단답형 문제이다.
-
트랜잭션들이 어떤 단위를 액세스 하기 전에 락을 요청해서 락이 허용되야만 로킹 단위를 액세스하는 기법은?
로킹 기법
-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로만 이루어진 통신망
애드훅(ad-hoc)
-
대표적인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로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고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로도 불리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
-
송, 수신 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프로세스 간의 대화 제어 및 동기점을 이용한 효울적인 데이터 복구를 제공하는 OSI 참조 모델의 계층은?
세션 계층(세션계층 : 응용 계층간의 대화 제어)
-
결함 관리 측정 지표
결함 분포, 결함 추세, 결함 에이징
-
BCNF는 테이블 R에서 모든 ( 1 ) ( 2 )가 아닌 정규형이다. 일반적으로 제 3정규형에 (2)가 여러 개 존재하고, 이러한 (2) 들이 서로 중첩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결정자, 후보키
-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소프트웨어이며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미들웨어(Middleware)
-
UI의 유형 중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 신체 부위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형은?
NUI(Natural User Interface)
-
콘텐츠 원본을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장치
보안 컨테이너
-
교착상태를 해결하는 기법 네가지
예비 회피 발견 회복
-
라우팅 알고리즘 중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모든 경로를 파악하여 미리 대체 경로를 마련해 두는 알고리즘은?
링크 상태 알고리즘
-
릴레이션 조작 시 데이터들이 불필요하게 중복되어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곤란한 현상
이상현상(Anomaly)
-
절차형 sql중 하나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삽입 수정 등 일정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수행되는 언어
트리거(Trigger)
-
요구사항 분석에서 자료의 흐름 및 변환 과정과 기능을 도형 중심으로 기술하는 방법
자료흐름도(DFD, Data Flow Diagram)
-
자료 흐름도 (Data Flow Diagram)의 구성 요소
프로세스, 단말, 자료 저장소, 자료 흐름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입력 값, 기대결과값 등을 명시하는 테스트 항목에 대한 명세서는?
테스트 케이스(Test Case)
-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정보기기를 분실하였을때 이를 습득한 타인이 불법으로 사용하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유출하지 못하도록 원격으로 조작하여 개인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기기 사용을 정지시키는 일종의 자폭 기능? ( 18년 2회 기출)
킬스위치
-
정보를 수집한 후 저장만 하고, 분석에 활용하고 있지 않은 다량의 데이터를 무엇이라 하는가? (19년 2회, 17년 3회 기출)
다크데이터
-
개발언어 선정기준
이식성, 적정성, 효율성, 범용성, 친밀성
-
요구사항 순서
도출, 분석, 명세, 확인
-
웹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하여 암호 통신규약을 결합 한 것
HTTPS
-
보안 소켓 계층을 이르는 말,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규약 프로토콜
SSL
-
TCP랑 직접 소통 안하고 TCP와 HTTP 사이에 SSL을 둬서 보안하는 것
HTTPS
-
소프트웨어 요구, 설계, 원시 코드 등의 저작자 외의 다른 전문가 또는 팀이 검사하여 오류를 찾아내는 기법
인스펙션
-
2~3명이 진행하는 리뷰의 형태로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요구사항 명세서를 설명하고, 이해 관계자들이 설명을 들으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
동료검토
-
검토 자료를 회의 전에 배포해서 사전검토한 후 짧은 시간 동안 회의를 진행하는 형태. 리뷰를 통해 오류를 검출하고 문서화 하는 기법
워크스루(walk-through)
-
상품이나 서비스가 출시되기 전에 개발 대상 시스템 또는 그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만든 원형
프로토타입
-
초기 도출된 요구사항을 토대로 프로토타입을 만든 후 대상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하는 동안 도출되는 요구사항을 반영하면서 지속적으로 프로토타입을 재작성하는 과정
프로토타이핑
-
로그인 할 때마다 그 세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1회성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보안 시스템을 ( )라고 한다. 동일한 패스워드가 반복해서 재사용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패스워드 도난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 )는 일반 패스워드와는 달리 단방향 암호 기반의 해시라는 패스워드를 사용하며, 그 세션이 끝나면 폐기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안전한 기능이다.
OTP
-
( )는 스마트폰이 곁에 없을 때 불안감이나 두려움을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 통신기기와 잠시 떨어지게 되면 의사소통이 단절될 수 있다는 두려움, 정보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불안감 등을 나타냄
노모포비아(Nomophobia)
-
( )는 오픈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인 아파치 하둡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이다. 한국이 주도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하둡의 빅데이터를 분석할 때 맵리듀스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화 질의 언어를 사용하여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파일을 바로 읽어 내는 기술이다.
TAJO
-
( )는 정보를 지정하는 노드가 가장 눈에 띄는 구조이다. 부모 노드, 자식 노드, 자손 노드로 구성되며, 분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분기의 끝에 있는 노드, 즉 가장 어린 노드를 리프라고 한다.
트리 구조(tree structure)
-
( )는 데이터를 보거나 기록할 때 데이터 레코드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키와 포인터로 구성된 데이터 구조이다. 테이블의 한 열 또는 여러 열을 사용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빠른 검색과 레코드 접근과 관련된 효율적인 시퀀싱 작업들을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인덱스 구조
-
조직에서 발생한 여러 가지 재난 상황으로, IT 시스템이 마비되었을 때 각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여러 백업 수단을 활용하여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을 말한다. 복구가 필요한 업무에 대하여 어느 시점까지 데이터가 필요한가에 따라 시점을 지정한다.
RPO, Recovery Point Objctive, 목표 복구 시점
-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문제해결 및 미래 예측을 위한 기법. 전문가 합의법이라고도 함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
-
형상 항목에 대한 형상 베이스라인이 승인된 후, 발생되는 형상 항목의 변경에 대하여 평가, 조정, 승인/보류/기각을 결정하는 심의 조직
CCB(형상통제위원회)
-
메모리 관리 기법의 하나로, 프로그램이 동적으로 할당했던 메모리 영역 중에서 필요 없게 된 영역을 해제하는 기능
가비지 컬렉션(GC, Garbage Collection)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비
게이트웨이(Gateway)
-
2계층 장비,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출발지에 들어온 데이터 프레임을 목적지 MAC 주소 기반으로 빠르게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
다양한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각기 다른 LAN이나 부분망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망
백본망(Backbone Network)
-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이나 침입을 실시간적으로 차단, 유해트래픽에 대한 조치를 능동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IPS(칩입 차단 시스템)
-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
프로토콜
-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로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PCB를 가진 시스템 프로그램
프로세스
-
각각 자기만의 암호를 가진 여러 명의 가입자가 동일한 주파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을 뜻하는 이동 통신 장비 기술은 무엇인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
데이터 모델에 표시할 요소
구조(structure), 제약조건(operation), 연산(constraint)
-
테이블의 속성들이 상호 종속적인 관계를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무손실 분해하는 과정
정규화
-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 형태가 2차원적인 표 또는 테이블로 표현되는 관계 데이터 모델
릴레이션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
스키마(Schema)
-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용량의 테이블이나 인덱스를 작은 논리적 단위로 나누어 분산시킨 것
파티션(Partition)
-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지는 가상 테이블
뷰(View)
공유하기
Twitter Google+ LinkedIn
댓글남기기